URBANRISM HAUS
* 이름/직함
* 메일주소
* 연락처
요청사항
0
* 일정
예산
* 자동입력
방지코드

* 개인정보
처리방침
URBANRISM HAUS 어반리즘 하우스

URBAN NEWS

URBAN BOARD

 

[K-관광] 한한령 9년, 변해버린 'K-관광 지형도'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5-05-08 10:19:17

🖍3줄 요약

 

✔️ 중국인 관광객이 9년 만에 다시 한국을 방문하면서, 과거처럼 화장품 쇼핑보다는 피부과·성형외과 등 미용의료 관광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음.

✔️ 이에 따라 국내 화장품 기업들은 과거의 ‘중국 특수’ 회복이 쉽지 않아졌고, 미용의료 중심의 K-관광 지형 변화에 맞춘 대응이 필요해짐.

✔️ 앞으로는 피부과·성형외과용 제품 등 의료 관광 시장에 집중하는 전략이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됨.

 

 

 

🖱 NEWS

 

한한령9, 변해버린‘K-관광 지형도

 

 (사진=Freepik)

(사진제공 = Freepik)

 

한동안 발길을 끊었던 중국 관광객들이 명동에 다시 나타나고 있음. 빨간 깃발을 든 단체관광객도 늘어나는 모습임. 한한령(한류 콘텐츠 금지령) 이후 9년 만의 변화임.

 

중국인 관광객의 회복을 가장 손꼽아 기다린 건 국내 화장품 기업들임. 중국 정부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치 전까지만 해도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K-화장품 쇼핑은 하나의 관광 코스였음. 이들은 강남역, 명동, 시내 면세점 일대를 돌며 화장품을 박스채로 구매하는 큰손으로 활약함. 당시 명동에서 한글보다 중국어로 쓰인 표지판이 더 흔했던 이유임.

 

사드 영향으로 중국인 관광객들이 발길을 끊으면서 명동, 강남 일대의 화장품 로드샵들은 대부분 문을 닫았음. 보따리상으로 불리던 따이공마저 줄어들면서 면세점에 입점한 매장들도 줄줄이 적자를 냄. 때문에 중국을 무대로 가파른 성장을 이룬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산업 등 국내 대형 화장품사들의 위기론이 등장하기 시작함.

 

이미 수년 전부터 중국인 특수가 끝난 이후를 우려하는 지적이 나왔음에도 국내 기업들은 고성장에 취해 진지하게 대안을 고민하지 않았음. 결국 울며 겨자먹기로 동남아, 북미 등 다른 국가로 눈을 돌렸지만 중국 큰손들을 따라잡기엔 역부족이었음. 화장품 기업들이 아직까지 중국 큰손들을 기다리는 것도 이 때문임. 지난해 국내 화장품 수출 1위 국가는 여전히 중국이 차지함.

 

하지만 한한령 9년간 많은 것들이 바뀌었음. 현지에서도 이커머스를 통해 국내 화장품을 손쉽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단체로 방문해 화장품을 쓸어가는 모습이 사라졌음. 개별 관광객들은 다양한 인디 브랜드를 경험할 수 있는 헬스엔뷰티(H&B) 스토어를 방문하고, 소량씩만 구매함.

 

대신 중국 큰손들의 발길은 병원을 향하고 있음. 최근 이들에게 가장 핫한 관광코스는 명동에서 밥 먹고 강남에서 보톡스 맞기. 피부·성형 시술 비용이 현지에 비해 훨씬 저렴한 덕분에 맛집, 쇼핑과 피부·성형 시술을 연계한 관광 코스가 인기를 끌고 있음.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117만여명으로 2023(60만명) 대비 두배나 늘었음. 이 중 중국인은 26만여명을 차지함. 진료 과목 기준으로는 피부과(70만명)1위를 차지했고 성형외과(14만명)가 뒤를 이었음. 2027년 국내를 방문하는 의료 관광객 수는 440만명에 달할 것이란 전망도 나옴. K-관광 지형도가 화장품에서 미용의료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셈임.

 

중국인의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제주도에 위치한 피부과, 성형외과에서는 과거 명동처럼 한국어 대신 중국어가 더 자연스럽게 들린다고 함. 이를 증명하듯 증권가에서는 한한령 해제 기대주로 클래시스, 휴젤, 파마리서치 등을 지목하고 있음. 이들은 슈링크’, ‘보툴렉스’, ‘리쥬란등 보톡스, 리프팅 장비, 스킨부스터 관련 제품을 보유한 기업들이다.

 

K-관광 지형이 바뀌면서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기대한 중국 큰손의 복귀는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짐. 한한령 해제 영향권에서 화장품 시장이 아예 비켜나진 않겠지만 기대만큼 수혜를 누리긴 어려울 것이라는 의미임.

 

그렇다면 변화에 발맞춘 대응이 필요함. 의료 관광 시대인 만큼 피부과·성형외과용 제품으로 눈을 돌리는 건 어떨까. 2017년 사드 보복 조치로 공든탑이 한순간에 무너져내렸던 경험을 반면교사 삼아 이번에는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하길 기대해봄.

 

 

 

📰 자료출처: <기자수첩> 한한령 9, 변해버린 'K-관광 지형도'

📰 링크: https://www.newstof.com/news/curationView.html?idxno=28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