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
2030 부산관광진흥 계획 수립 |
부산시 |
(2025) |
김포시 야간정책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
김포시 |
(2025) |
경상남도 이순신 승전길 활성화 실행사업 |
경상남도 |
(2025) |
제63회 진해군항제 평가 및 방문객조사 |
경상남도 창원시 |
(2025) |
부산슈퍼 고도화 및 시장진출 실행계획 수립 |
부산관광공사 |
(2025) |
관광스타트업 공모 및 연장심사 운영 |
부산관광공사 |
(2025) |
K-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 고도화 실행계획 수립 |
부산관광공사 |
(2024) |
고부가 K-관광 종합계획 수립 연구 |
(재)울산문화관광재단 |
(2024) |
부산 관광두레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
부산관광공사 |
(2024) |
부산관광기업지원센터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
부산관광공사 |
(2024) |
화암추등대 관광자원화사업 기본계획 수립 |
울산 동구청 |
(2024) |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대회 평가 |
(재)울산연구원 |
(2024) |
산청한방약초축제 아카이빙 |
(재)산청축제관광재단 |
(2024) |
플라이아시아 연계 데모데이 행사 운영 |
부산관광공사 |
(2024) |
산청한방약초축제 평가보고서 작성 |
(재)산청축제관광재단 |
(2024) |
울주복지재단 설립 타당성검토 복지분야 실무자 설문조사 |
(재)울산연구원 |
(2024) |
웰니스 관광지 컨설팅 및 인력 양성 |
부산관광공사 |
(2024) |
부산 관광두레 육성사업 |
부산관광공사 |
(2024) |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울산 중장기 발전방안 |
(재)울산문화관광재단 |
(2024) |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중장기 관광정책 수립 연구 용역 |
부산관광공사 |
(2024) |
울산쇠부리축제 설문조사 분석 |
(재)울산연구원 |
(2024) |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및 컨설팅 운영 |
(재)울산문화관광재단 |
(2024) |
함안 낙화놀이 축제 활성화를 위한 컨설팅 사업 |
한국관광공사 |
(2024) |
울산 대표 미니어처 공원 조성계획 수립 |
(재)울산연구원 |
(2023) |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설문조사 |
(재)울산연구원 |
(2023) |
울산형 워케이션 연구 |
(재)울산문화관광재단 |
(2023) |
울산시 정원관광 인식 및 방문객 설문조사 |
(재)울산연구원 |
(2023) |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컨설팅 운영 |
(재)울산문화관광재단 |
(2023) |
Using Kano model to understand an effect of specialization and perceived risk on demand for services in marine tourism |
SSCI |
(2023) |
지방공항 연계 지역 관광 활성화 사례분석 및 전략수립 |
한국관광공사 |
(2023) |
웰니스 관광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 |
부산관광공사 |
(2023) |
울산쇠부리축제 설문조사 및 빅데이터(소셜) 분석 |
(재)울산연구원 |
(2023) |
부산관광기업 현황 데이터 구축 연구 |
부산관광공사 |
(2020) |
문화관광지 체험이 지각된 가치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CI |
(2020) |
경영평가 주요사업 계량지표 연구개발 |
한국관광공사 |
(2020) |
도시관광 재생사업이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주민참여에미치는 영향 |
KCI |
(2020) |
동남권 광역관광 활성화 방안 수립 용역 |
동남권광역관광본부 |
(2019) |
한강 수변공간 마포지구 관광활성화 |
한강사업본부 |
(2019) |
부산·울산 강소형 잠재관광지 발굴·육성 컨설팅 보고서 |
한국관광공사 |
(2019) |
지속가능한 관광자원 잠재력 평가지표 개발: 도시재생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
(2019) |
지속가능한 마을재생 지표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 감천문화마을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
KCI |
(2018) |
마을재생을 통한 지역주민 삶의 질에 관한 영향연구: 부산 감천문화마을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
KCI |
(2017) |
강원도 문화예술단체 및 문화기반시설 현황조사 |
(재)강원문화재단 |
(2017) |
동북아 크루즈 관광 동향 연구 |
(사)제주크루즈산업협회 |
(2017) |
관광자원 잠재력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도 수원시지역을 중심으로 |
KCI |
(2017) |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중장기 실행계획 수립연구 |
문체부/한국관광공사 |
(2017) |
지속가능한 문화적 관광지 재생 활성화 방안 |
KCI |
(2017) |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권역 PM단 : 인천, 파주, 수원, 화성 |
문체부/한국관광공사 |
(2017) |
수원시 역사·문화관광지 재생 PM단 활용 재생사업 지표개발 |
수원시정연구원 |
(2017) |
관광지유형별 재생사업 지표활용연구 |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
(2017) |
전시컨벤션센터의물리적 환경, 고객만족, 행동의도간의구조관계연구 |
KCI |
(2016) |
마포 홍대관광특구 지정연구용역 |
마포구청 |
(2016) |
파주 통일동산일원 관광특구 지정 연구 용역 |
파주시청 |
(2016) |
관광지 재생 사업의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6) |
제주지역 방문관광객 수요전망 및 제주오라관광단지 숙박 시설공급 적정성분석 |
제이씨씨 그룹 |
(2016) |
지역축제 브랜드자산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CI |
(2016) |
조직변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사이언스를 관점으로 |
KCI |
(2015) |
아시아 크루즈 리더스 네트워크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연구 |
(사)제주크루즈산업협회 |
(2015) |
수원화성 관광특구 진흥계획 수립 |
수원시청 |
(2015) |
중국어 관광채널 설립 타당성 연구 |
한국관광공사 |
(2014) |
소규모 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조사 연구 |
화성시청 |
(2014) |
화성시 말(馬)산업 육성을 위한 발전방안 계획수립연구 |
화성시청 |
(2013) |
화성시 문화컨텐츠 구축을 위한 기본 조사 및 분석 |
화성시청 |
(2013) |
화성시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권역별 특성화 방안 |
화성시청 |
(2013) |
관광체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