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BANRISM HAUS
* 이름/직함
* 메일주소
* 연락처
요청사항
0
* 일정
예산
* 자동입력
방지코드

* 개인정보
처리방침
URBANRISM HAUS 어반리즘 하우스

URBAN NEWS

URBAN BOARD

 

[Trend] 고물가 스위스 어쩌다 이 지경..여행만족도 추락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5-10-30 09:18:07

🖍️2줄요약

 

✔️ 스페인, 포르투갈, 체코, 호주 상승세

✔️ 컨슈머인사이트 연례 여행만족도 조사

 

 

🖱NEWS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만난 유럽할머니 까미노(순례자)

 

 
 

고물가에 친절도도 높지않은 스위스 여행 만족도가 추락했음.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2016년부터 매년 925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연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지난 1년간(’249~’258) 해외여행을 다녀온 13287명과 국내에서 여름휴가(6~8) 목적의 여행을 다녀온 소비자 17229명에게 주 여행지가 어디였는지, 그 지역에 얼마나 만족했는지(만족도)’추천할 의향이 얼마나 있는지(추천의향)’를 묻고 종합만족도를 산출해 응답 사례수 60 이상의 32개국을 비교했음.

 

스페인(808)이 유일한 800점대 종합만족도로 1위를 차지했음. 포르투갈(793)2, 체코(791)3위였으며, 코로나 19로 조사가 불가능했던 3(20-22)을 제외하고 4년 연속 1위였던 스위스는 4위로 내려앉았음.

 

스위스 등 중·서부 유럽은 약세를 보였고, 체코·크로아티아 등 동유럽이 떠오르고 있음. 그동안 해외여행 만족도를 좌우하던 가심비 대신 실질적인 가성비에 따라 순위가 재편되는 양상임.

 

크로아티아는 작년 사례수 부족(60명 미만)으로 순위에서 제외됐으나 올해는 5위에 올라 최상위 톱5 국가 모두 유럽이 차지했음.

 

그 뒤로는 하와이(780), 이탈리아(778), 뉴질랜드와 호주(각각 766), 오스트리아(761)가 톱10에 이름을 올렸음. 일본(756)은 전년 대비 한 계단 하락해 11위가 됐지만 여전히 아시아 국가 중 순위가 가장 높았고, 이어 영국(749), 헝가리(745), 싱가포르(733), 베트남(730), (728), 캐나다와 튀르키예(각각 725) 순으로 총 18개국이 평균(725) 이상의 점수를 얻었음.

 

해외여행 만족도는 평균 725(1000점 만점)으로 작년보다 2점 하락했음. 권역별로는 유럽(752)이 가장 높았고, 지난해 유럽과 비슷했던 대양주는 크게 하락해(17) 738이었음. 다음은 미주(727), 아시아(721) 이고, 아프리카(681)는 다른 권역 대비 크게 뒤처졌음.

 

이에 비해 작년 나란히 1, 2위였던 스위스와 오스트리아는 각각 3, 8계단 떨어졌고, 프랑스(24)11계단, 독일(30)15계단이나 내려앉았음.

 

주목할 부분은 대표적인 고비용·저만족 여행지로 취급되던 프랑스·독일뿐 아니라 고비용·고만족의 가심비 여행지로 꼽히던 스위스도 하락 대열에 합류한 점임.

 

상대적으로 저비용·고만족 여행지인 남유럽·동유럽 국가의 순위가 크게 상승한 것을 고려하면 여행자의 만족도 판단 기준이 실질 가성비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임.

 

해외여행 만족도 평균(725) 이하 14개국 중 아시아 국가가 10개로 대부분 하위권을 면치 못했음. 몽골(20)과 중국(26)도 하위권에 머물렀으나 만족도 점수의 대폭 상승(각각 +45, +25)에 힘입어 순위 9계단, 4계단씩 올랐음. 반면 사이판은 74, 18계단 하락해 모든 국가 중 최대 낙폭을 기록했음.

   

한국인의 해외여행은 여전히 80%가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 머물고 있음. 유럽, 미주 등 원거리 해외여행은 작정하고 한 번 가는 꿈의 여행으로, 비용보다는 심리적 만족감이 우선시됐음. 그러나 최근에는 물가·환율 부담과 안전·쾌적성현실적인 여건을 중시하고, 낭만보다 실속을 찾는 흐름이 확산되는 것으로 보임. 국내여행에 이어 해외여행도 가심비보다 가성비, 이상보다 현실적 만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예상됨.

 

 

 

📰 기사원문: <헤럴드경제>고물가 스위스 어쩌다 이 지경..여행만족도 추락

📰 링크: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604367?ref=nave